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는 1967년 6월 8일에 실시되었으며, 총 유권자 14,717,354명 중 76.1%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선거 결과, 민주공화당이 129석을 얻어 압승을 거두었으며, 신민당은 45석, 대중당은 1석을 차지했다. 선거 과정에서 부정 선거 논란이 있었으며, 야당은 재선거를 요구하며 국회 등원을 거부하기도 했다. 이 선거는 여촌야도 현상을 심화시키고, 3명의 여성 국회의원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백림 사건 - 윤이상
윤이상은 서구 아방가르드 음악 기법과 한국 전통 음악의 융합을 통해 독자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하고 국제적인 명성을 얻은 한국의 작곡가로서, 다양한 장르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기며 한국 현대 음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동백림 사건 - 천상병
천상병은 삶과 죽음, 우주에 대한 성찰을 간결하고 담백한 시어로 표현한 대한민국의 시인으로, 동백림 사건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르는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으며 그의 시 정신을 기리는 예술제가 매년 개최된다. - 1967년 6월 - 제17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1967년에 개최된 제17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는 토롤드 디킨슨이 심사위원장을 맡고 예르지 스콜리모프스키 감독의 《출발》이 황금곰상을 수상했으며, 지보인 파블로비치, 에디스 에반스, 미셸 시몽 등이 은곰상을 수상했다. - 1967년 6월 - 러빙 대 버지니아 사건
러빙 대 버지니아 사건은 1967년 미국 연방 대법원에서 버지니아주의 인종 간 결혼 금지법이 수정헌법 제14조 위반으로 위헌이라고 판결한 사건으로, 미국의 혼혈 금지법을 종식시키고 사회적 이슈에 대한 법적 선례를 남겼다.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이전 선거 | 1963년 |
선거일 | 1967년 6월 8일 |
다음 선거 | 1971년 |
투표율 | 76.12% ( 4.01%p) |
선출 의석수 | 국회 총 175석 |
과반 의석수 | 88석 |
선거 결과 | |
정당 1 | 민주공화당 |
정당 1 대표 | 박정희 |
정당 1 득표율 | 50.62% |
정당 1 이전 선거 의석 | 110석 |
정당 1 획득 의석 | 129석 |
정당 2 | 신민당 |
정당 2 대표 | 김홍일 |
정당 2 득표율 | 32.74% |
정당 2 이전 선거 의석 | 65석 |
정당 2 획득 의석 | 45석 |
정당 3 득표율 | 2.30% |
정당 3 획득 의석 | 1석 |
국회의장 | |
선거 전 국회의장 | 이효상 |
선거 전 국회의장 소속 정당 | 민주공화당 |
선거 후 국회의장 | 이효상 |
선거 후 국회의장 소속 정당 | 민주공화당 |
2. 선거 정보
- 총 유권자 수: 14,717,354명[8]
- 투표일: 1967년 6월 8일
- 투표율: 76.1% (투표자 수: 11,202,317명, 유효표 수: 10,856,008표)
- 의석 정수: 175석 (지역구 131석 + 전국구 44석)
- 선거 제도: 소선거구제 + 비례대표제 (소선거구 비례대표 병립제)
- 지역구: 소선거구제 (131석)
- 전국구: 비례대표제 (44석). 3석 이상 또는 유효투표의 5% 이상을 획득하지 못한 정당은 제외.
- 선거 당시 대통령: 박정희 (민주공화당)
- 의원 임기: 4년
정당별 득표수와 의석수는 다음과 같다.
정당명 | 득표수 | 득표율(%) | 지역구 의석 | 비례대표 의석 | 합계 의석 | 의석 비율(%) |
---|---|---|---|---|---|---|
민주공화당 | 5,494,922 | 50.6 | 102 | 27 | 129 | 73.7 |
신민당 | 3,554,224 | 32.7 | 28 | 17 | 45 | 25.7 |
대중당 | 249,561 | 2.3 | 1 | 0 | 1 | 0.6 |
기타 정당 | 1,557,301 | 14.4 | 0 | 0 | 0 | 0.0 |
합계 | 10,856,008 | 131 | 44 | 175 |
시도별 지역구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도 | 정수 | 민주공화당 | 신민당 | 대중당 |
---|---|---|---|---|
합계 | 131 | 102 | 28 | 1 |
서울특별시 | 14 | 1 | 13 | 0 |
부산광역시 | 7 | 2 | 5 | 0 |
경기도 | 13 | 10 | 3 | 0 |
강원도 | 9 | 8 | 1 | 0 |
충청북도 | 8 | 8 | 0 | 0 |
충청남도 | 13 | 12 | 1 | 0 |
전라북도 | 11 | 11 | 0 | 0 |
전라남도 | 19 | 16 | 2 | 1 |
경상북도 | 20 | 18 | 2 | 0 |
경상남도 | 15 | 14 | 1 | 0 |
제주특별자치도 | 2 | 2 | 0 | 0 |
의원 정수는 제6대 총선과 동일하게 지역구 131명과 전국구 44명으로 총 175명이었다.
1967년 6월 8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의 전국 투표율은 76.1%였다. 총 선거인 수 14,717,354명 중 11,202,317명이 투표에 참여했으며, 이는 제6대 국회의원 선거보다 약 4%p 증가한 수치이다.
3. 배경
항목 내용 대통령 박정희 (민주공화당)…전달 제6대 대통령 선거에서 신민당의 대통령 후보 윤보선을 큰 표차로 누르고 당선되었다. 의석수 175석 (지역구 (소선거구제) 131석, 전국구 (비례대표제) 44석) 의원 임기 4년 선거 제도 소선거구 비례대표 병립제. 유권자는 지역구 후보자에게만 투표(기호식), 전국구는 지역구에서 획득한 득표율에 따라 각 당에 배분(자세한 내용은 제6대 총선에 서술). 무소속 후보의 입후보는 금지. 선거인 수 14,717,354명
4. 선거 과정
지역 투표율 서울특별시 57.6% 부산광역시 69.4% 경기도 74.0% 강원도 81.3% 충청북도 86.7% 충청남도 81.3% 전라북도 79.3% 전라남도 78.9% 경상북도 80.3% 경상남도 84.0% 제주특별자치도 77.8%
4. 1. 입후보
지역구에는 702명이 입후보하여 평균경쟁률은 5.4 대 1을 나타냈다. 이 선거에는 민주공화당과 신민당 이외에 대중당, 민중당, 자민당 등 모두 11개 정당이 참여하였다.
4. 2. 선거 운동
제7대 총선거의 공식 선거 운동 기간은 1967년 5월 9일부터 6월 7일까지였다. 그러나, 이 기간은 후보자 등록이 마감된 직후부터 시작되었기 때문에, 실질적인 선거 운동은 더 일찍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4. 3. 투표율
1967년 6월 8일 실시된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의 전국 투표율은 76.1%였다. 총 선거인 수 14,717,354명 중 11,202,317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이는 제6대 국회의원 선거보다 약 4%p 증가한 수치이다.지역 | 투표율 |
---|---|
서울특별시 | 57.6% |
부산광역시 | 69.4% |
경기도 | 74.0% |
강원도 | 81.3% |
충청북도 | 86.7% |
충청남도 | 81.3% |
전라북도 | 79.3% |
전라남도 | 78.9% |
경상북도 | 80.3% |
경상남도 | 84.0% |
제주특별자치도 | 77.8% |
5. 선거 결과
1967년 6월 8일에 실시된 제7대 국회의원 선거는 76.1%의 투표율을 기록하여 제6대 국회의원 선거보다 4%가량 증가하였다. 민주공화당이 의원 정수의 73.7%인 129석(지역구 102석, 전국구 27석)을 차지하여 절대 다수 의석을 확보하였다. 신민당은 45석(지역구 28석, 전국구 17석)을 얻었고, 대중당은 1석(지역구 1석)을 얻는 데 그쳤다. 나머지 8개 정당은 단 한 명의 당선자도 내지 못하였다.
정당별 득표율은 민주공화당이 50.6%, 신민당이 32.7%를 기록했다.
11개 정당의 후보가 출마했지만, 대중당 1명을 제외하고는 민주공화당과 신민당이 대부분의 의석을 차지하는 양당제 구도가 나타났다. 특히 민주공화당은 박정희 대통령의 3선개헌을 위한 의석 확보를 위해 부정 선거를 자행하여 3분의 2가 넘는 의석을 획득하였다.[2][3]
이에 신민당은 재선거를 요구하며 국회 등원을 거부하였고, 민주공화당은 단독으로 국회를 개최하는 등 정국이 혼란스러워졌다. 이후 여야 협상을 통해 부정 선거 문제 해결과 재발 방지 입법 등에 합의하고, 11월 29일 신민당 의원들이 국회에 등원하면서 사태가 일단락되었다.[5]
; 여성 당선자
여성 당선자는 총 3명(지역구 1명, 전국구 2명)으로, 여성 의원 비율은 1.7%였다.[6]
5. 1. 정당별 의석수
정당 | 지역구 | 전국구 | 합계 |
---|---|---|---|
민주공화당 | 102 | 27 | 129 |
신민당 | 28 | 17 | 45 |
대중당 | 1 | 0 | 1 |
합계 | 131 | 44 | 175 |
1967년 6월 8일에 실시된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이 총 129석(지역구 102석, 전국구 27석)을 차지하여 압승을 거두었다. 신민당은 총 45석(지역구 28석, 전국구 17석)을 얻었고, 대중당은 지역구에서 1석을 얻는 데 그쳤다.
5. 2. 정당별 득표율
제7대 국회의원 선거의 투표율은 76.1%로, 제6대 국회의원 선거보다 4%가량 증가하였다. 정당별 득표율은 다음과 같다.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민주공화당 | 5,494,922 | 50.6 |
신민당 | 3,554,224 | 32.7 |
자유당 | 393,448 | 3.6 |
민주당 | 323,203 | 3.0 |
대중당 | 249,561 | 2.3 |
한국독립당 | 240,936 | 2.2 |
민중당 | 180,324 | 1.7 |
정의당 | 142,670 | 1.3 |
통일사회당 | 104,975 | 1.0 |
자유민주당 | 88,474 | 0.8 |
통한당 | 83,271 | 0.8 |
신민당을 제외한 나머지 정당들은 모두 4% 미만의 득표율을 기록했다.[1]
5. 3. 지역별 결과
1967년 6월 8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의 지역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지역 | 민주공화당 | 신민당 | 대중당 | 합계 |
---|---|---|---|---|
서울특별시 | 1 | 13 | - | 14 |
부산시 | 2 | 5 | - | 7 |
경기도 | 10 | 3 | - | 13 |
강원도 | 8 | 1 | - | 9 |
충청북도 | 8 | - | - | 8 |
충청남도 | 12 | 1 | - | 13 |
전라북도 | 11 | - | - | 11 |
전라남도 | 16 | 2 | 1 | 19 |
경상북도 | 18 | 2 | - | 20 |
경상남도 | 14 | 1 | - | 15 |
제주도 | 2 | - | - | 2 |
합계 | 102 | 28 | 1 | 131 |
{| class="wikitable"
|+ 시·도별 지역구 상세 결과
! width="90" | 시·도
! colspan="4" | 선거구 / 당선자
|-
! rowspan="12" | 서울특별시
! style="text-align:left;" width="150" | 종로구
! style="text-align:left;" width="150" | 중구
! style="text-align:left;" width="150" | 동대문구 갑
! style="text-align:left;" width="150" | 동대문구 을
|-
| 신민당 유진오
| 신민당 정일형
| 신민당 송원영
| 신민당 장준하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성동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성동구 을
! style="text-align:left;" | 성북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성북구 을
|-
| 신민당 조한백
| 민주공화당 박준규
| 신민당 조윤형
| 신민당 서범석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서대문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서대문구 을
! style="text-align:left;" | 마포구
! style="text-align:left;" | 용산구
|-
| 신민당 김재광
| 신민당 윤제술
| 신민당 김홍일
| 신민당 김원만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영등포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영등포구 을
| rowspan="2" colspan="2" |
|-
| 신민당 유진산
| 신민당 박한상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6" | 부산시
! style="text-align:left;" | 중구
! style="text-align:left;" | 영도구
! style="text-align:left;" | 서구
! style="text-align:left;" | 동구
|-
| 신민당 김응주
| 민주공화당 예춘호
| 신민당 김영삼
| 신민당 박기출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부산진구 갑
! style="text-align:left;" | 부산진구 을
! style="text-align:left;" | 동래구
| rowspan="2" colspan="1" |
|-
| 신민당 정상구
| 민주공화당 최두고
| 신민당 임갑수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12" | 경기도
! style="text-align:left;" | 인천시 갑
! style="text-align:left;" | 인천시 을
! style="text-align:left;" | 수원시
! style="text-align:left;" | 의정부시·양주군
|-
| 신민당 김정열
| 신민당 김은하
| 민주공화당 이병희
| 민주공화당 이진용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광주군·이천군
! style="text-align:left;" | 포천군·가평군·연천군
! style="text-align:left;" | 여주군·양평군
! style="text-align:left;" | 용인군·안성군
|-
| 민주공화당 차지철
| 민주공화당 오치성
| 민주공화당 이백일
| 민주공화당 서상린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평택군
! style="text-align:left;" | 화성군
! style="text-align:left;" | 고양군·파주군
! style="text-align:left;" | 김포군·강화군
|-
| 민주공화당 이윤용
| 신민당 김형일
| 민주공화당 신윤창
| 민주공화당 김재소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시흥군·부천군·옹진군
| rowspan="2" colspan="3" |
|-
| 민주공화당 오학진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9" | 강원도
! style="text-align:left;" | 춘천시·춘성군
! style="text-align:left;" | 원주시·원성군
! style="text-align:left;" | 강릉시·명주군
! style="text-align:left;" | 홍천군·인제군
|-
| 민주공화당 김우영
| 신민당 박영록
| 민주공화당 최익규
| 민주공화당 이승춘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영월군·정선군
! style="text-align:left;" | 철원군·화천군·양구군
! style="text-align:left;" | 속초시·양양군·고성군
! style="text-align:left;" | 횡성군·평창군
|-
| 민주공화당 장승태
| 민주공화당 김재순
| 민주공화당 김종호
| 민주공화당 이우현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삼척군
| rowspan="2" colspan="3" |
|-
| 민주공화당 김진만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6" | 충청북도
! style="text-align:left;" | 청주시
! style="text-align:left;" | 청원군
! style="text-align:left;" | 충주시·중원군
! style="text-align:left;" | 옥천군·보은군
|-
| 민주공화당 정태성
| 민주공화당 민기식
| 민주공화당 이종근
| 민주공화당 육인수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괴산군
! style="text-align:left;" | 영동군
! style="text-align:left;" | 진천군·음성군
! style="text-align:left;" | 제천군·단양군
|-
| 민주공화당 안동준
| 민주공화당 정직래
| 민주공화당 오원선
| 민주공화당 김유택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12" | 충청남도
! style="text-align:left;" | 대전시
! style="text-align:left;" | 대덕군·연기군
! style="text-align:left;" | 공주군
! style="text-align:left;" | 논산군
|-
| 신민당 박병배
| 민주공화당 김용태
| 민주공화당 김달수
| 민주공화당 양순직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부여군
! style="text-align:left;" | 서천군·보령군
! style="text-align:left;" | 청양군·홍성군
! style="text-align:left;" | 예산군
|-
| 민주공화당 김종필
| 민주공화당 이원장
| 민주공화당 장영순
| 민주공화당 박병선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서산군
! style="text-align:left;" | 당진군
! style="text-align:left;" | 아산군
! style="text-align:left;" | 천안시·천원군
|-
| 민주공화당 이상희
| 민주공화당 김두현
| 민주공화당 이민우
| 민주공화당 김종철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금산군
| rowspan="2" colspan="3" |
|-
| 민주공화당 길재호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9" | 전라북도
! style="text-align:left;" | 전주시
! style="text-align:left;" | 군산시·옥구군
! style="text-align:left;" | 이리시·익산군
! style="text-align:left;" | 완주군
|-
| 민주공화당 김용진
| 민주공화당 차형근
| 민주공화당 김성철
| 민주공화당 유범수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진안군·장수군·무주군
! style="text-align:left;" | 임실군·순창군
! style="text-align:left;" | 남원군
! style="text-align:left;" | 정읍군
|-
| 민주공화당 전휴상
| 민주공화당 한상준
| 민주공화당 유광현
| 민주공화당 박두선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고창군
! style="text-align:left;" | 부안군
! style="text-align:left;" | 김제군
| rowspan="2" colspan="1" |
|-
| 민주공화당 신용남
| 민주공화당 이병옥
| 민주공화당 장경순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15" | 전라남도
! style="text-align:left;" | 광주시 갑
! style="text-align:left;" | 광주시 을
! style="text-align:left;" | 목포시
! style="text-align:left;" | 여수시·여천군
|-
| 신민당 정성태
| 민주공화당 정래정
| 신민당 김대중
| 민주공화당 이우헌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순천시·승주군
! style="text-align:left;" | 담양군·장성군
! style="text-align:left;" | 화순군·곡성군
! style="text-align:left;" | 구례군·광양군
|-
| 민주공화당 김우경
| 민주공화당 고재필
| 민주공화당 기세풍
| 민주공화당 이현재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고흥군
! style="text-align:left;" | 보성군
! style="text-align:left;" | 장흥군
! style="text-align:left;" | 영암군·강진군
|-
| 대중당 서민호
| 민주공화당 양달승
| 민주공화당 길전식
| 민주공화당 윤재명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완도군
! style="text-align:left;" | 해남군
! style="text-align:left;" | 무안군
! style="text-align:left;" | 나주군
|-
| 민주공화당 정간용
| 민주공화당 김병순
| 민주공화당 배길도
| 민주공화당 이호범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광산군
! style="text-align:left;" | 영광군·함평군
! style="text-align:left;" | 진도군
| rowspan="2" colspan="1" |
|-
| 민주공화당 박종태
| 민주공화당 윤인식
| 민주공화당 이남준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15" | 경상북도
! style="text-align:left;" | 대구시 중구
! style="text-align:left;" | 대구시 동구
! style="text-align:left;" | 대구시 남구
! style="text-align:left;" | 대구시 북구·서구
|-
| 민주공화당 이만섭
| 민주공화당 이원만
| 민주공화당 이효상
| 신민당 조일환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포항시·영일군·울릉군
! style="text-align:left;" | 김천시·금릉군
! style="text-align:left;" | 경주시·월성군
! style="text-align:left;" | 달성군·고령군
|-
| 민주공화당 김장섭
| 민주공화당 백남억
| 민주공화당 이상무
| 민주공화당 김성곤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군위군·선산군
! style="text-align:left;" | 의성군
! style="text-align:left;" | 안동시·안동군
! style="text-align:left;" | 청송군·영덕군
|-
| 민주공화당 김봉환
| 신민당 우홍구
| 민주공화당 김대진
| 민주공화당 문태준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영양군·울진군
! style="text-align:left;" | 영천군
! style="text-align:left;" | 경산군·청도군
! style="text-align:left;" | 성주군·칠곡군
|-
| 민주공화당 오준석
| 민주공화당 이원우
| 민주공화당 박주현
| 민주공화당 송한철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상주군
! style="text-align:left;" | 문경군
! style="text-align:left;" | 예천군
! style="text-align:left;" | 영주군·봉화군
|-
| 민주공화당 김천수
| 민주공화당 이동영
| 민주공화당 정진동
| 민주공화당 김창근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12" | 경상남도
! style="text-align:left;" | 마산시
! style="text-align:left;" | 진주시·진양군
! style="text-align:left;" | 충무시·통영군·고성군
! style="text-align:left;" | 거제군
|-
| 민주공화당 한태일
| 민주공화당 구태회
| 민주공화당 최석림
| 민주공화당 김주인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진해시·창원군
! style="text-align:left;" | 삼천포시·사천군·하동군
! style="text-align:left;" | 함안군·의령군
! style="text-align:left;" | 창녕군
|-
| 민주공화당 조창대
| 민주공화당 김용순
| 민주공화당 김창욱
| 신민당 성낙현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산청군·합천군
! style="text-align:left;" | 밀양군
! style="text-align:left;" | 양산군·동래군
! style="text-align:left;" | 울산시·울주군
|-
| 민주공화당 김삼상
| 민주공화당 공정식
| 민주공화당 노재필
| 민주공화당 설두하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김해군
! style="text-align:left;" | 남해군
! style="text-align:left;" | 함양군·거창군
| rowspan="2" colspan="1" |
|-
| 민주공화당 김택수
| 민주공화당 최치환
| 민주공화당 민병권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2" | 제주도
! style="text-align:left;" | 제주시·북제주군
! style="text-align:left;" |
5. 4. 전국구 배분
국회의원 선거법에 따라, 지역구 의석이 3석 이상이고 득표율이 5%를 넘는 민주공화당과 신민당에만 득표율에 따라 전국구 의석이 배분되었다. 민주공화당은 27석, 신민당은 17석을 차지했다.[9]
6. 부정선거 논란과 후폭풍
선거 과정에서 많은 부정 선거 행위가 저질러져 야당은 전면 부정선거라고 주장하며 ‘전면 무효화’와 ‘전면 재선거’를 요구했고, 의원 등록을 거부했다. 이러한 혼란은 학원가에도 번져 대학은 휴교 조치 후 조기 방학에 들어갔다. 공화당은 "타락되고 혼탁한 분위기의 선거였음에는 틀림이 없었다"라며 화성 지역구 권오석 당선자를 김형일로 착오 시정했고, 보성 양달승, 평택 이윤용, 대전 원용석, 보령 이원장, 군산 차형근, 고창 신용남, 화순 기세풍, 영천 이원우 당선자 등을 제명하고, 7개 구 지구당 위원장을 당에서 제명하여 부정 선거임을 스스로 인정했다.[2] 공화당은 헌법 개정을 단독으로 실시하는 데 필요한 2/3 의석을 확보하고자 사전 부정투표, 돈 선거, 강압 투표 등 부정 행위[3]를 저질렀고, 2/3를 훨씬 넘는 의석을 얻었다. 반면 야당인 신민당은 도시 지역에서는 우세했지만, 농산어촌 지역에서는 공화당에 패배했다. 학생들은 부정 선거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고, 박정희는 공화당 의석 하나를 신민당에 넘기도록 지시하고, 부정 선거 책임을 물어 공화당 의원 6명을 당에서 제명했다.[4]
이후 김옥선은 소송 끝에 개표 오류가 밝혀져 당선자 결정이 시정되어 국회에 입성했고, 보성 양달승은 공개 투표 등으로 일부 투표구의 선거가 무효로 되어 재선거가 결정되었으며, 재선거 지역 투표수를 합친 결과 야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신민당은 재선거를 요구하며 국회 출석을 거부했다. 여당인 공화당은 단독 국회 개최를 결정하고 7월 10일 국회를 소집했다. 단독 국회를 합법화하기 위해 공화당은 국회의원 13명을 이유를 대고 탈당시켜 무소속 의원 내 교섭 단체를 결성해 여당 편의 야당을 만들었는데, 10월 5일 의원 내 교섭 단체로 등록되면서 “'''10·5 클럽'''”(십오구락부한국어)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이후 11월 6일 여야 전권 대표자 회담을 개최하여 (1) 박 대통령의 진해 발언[5]에 따라 부정 선거 사실을 인정하고 사과한 것으로 간주, (2) 부정 선거 지역구 재선거 및 관계자 책임 문제는 특별 위원회에서 심의, (3) 단독 국회는 기정사실로 하며, 그 국회에서 처리된 안건은 특별 국정 감사를 통해 추인, (4) 선거 부정 재발 방지를 위한 보장 입법 실시 등에 합의했고, 11월 29일 신민당 소속 국회의원들은 국회에 출석했다.
7. 영향 및 평가
공화당은 농촌 지역에서 압승을 거둔 반면, 신민당은 대도시에서 크게 승리하여 '여촌야도' 현상이 심화되었다. 선거 과정에서 많은 부정 선거 행위가 저질러져 야당은 '전면 무효화' 및 '전면 재선거'를 요구하며 의원 등록을 거부했다. 이러한 정국 혼란은 학원가에까지 번져 대학은 휴교 조치와 조기 방학에 들어갔다.[2] 공화당 스스로도 "타락되고 혼탁한 분위기의 선거였음에는 틀림이 없었다"라며 부정 선거를 인정했다. 화성 지역구 당선자를 김형일로 착오 시정하고, 보성 양달승, 평택 이윤용, 대전 원용석, 보령 이원장, 군산 차형근, 고창 신용남, 화순 기세풍, 영천 이원우 당선자 등을 제명하고, 7개 구의 지구당 위원장을 당에서 제명했다.[3]
김옥선은 소송 끝에 개표 오류가 밝혀져 당선자 결정이 시정되어 국회에 입성했고, 보성 양달승은 일부 투표구의 선거 무효로 재선거가 결정되어 야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11개 정당 후보가 출마했지만, 제3당 당선자는 대중당 1명뿐이었고, 민주공화당(공화당)과 신민당의 양대 정당이 대부분의 의석을 차지했다. 이 선거에서 공화당은 헌법 개정을 단독으로 실시하는 데 필요한 3분의 2 의석을 확보하기 위해 부정 행위를 저지르고 3분의 2를 훨씬 넘는 의석을 얻었다.[4] 반면 신민당은 도시 지역에서는 우세했지만, 농산어촌 지역에서는 공화당에 패배했다.
학생들이 항의 시위를 벌이자, 박정희는 공화당 의석 하나를 신민당에 넘기도록 지시하고, 6명의 공화당 의원에게 부정 선거 책임을 물어 당에서 제명하는 조치를 취했다. 신민당은 재선거를 요구하며 국회 출석을 거부했다. 공화당은 단독 국회 개최를 결정하고, 7월 10일에 국회를 소집했다. 단독 국회를 합법화하기 위해 공화당 내 국회의원 13명을 탈당시켜 무소속 의원 내 교섭 단체를 결성했고, 10월 5일에 “'''10·5 클럽'''”(십오구락부한국어)이라는 명칭으로 등록되었다.
11월 6일, 여야 전권 대표자 회담을 개최하고, (1) 박 대통령의 진해 발언[5]에 따라 부정 선거 사실을 인정하고 사과한 것으로 간주, (2) 부정 선거 지역구 재선거 및 관계자 책임 문제는 특별 위원회에서 심의, (3) 단독 국회는 기정사실로 하며, 그 국회에서 처리된 안건은 특별 국정 감사를 통해 추인, (4) 선거 부정 재발 방지를 위한 보장 입법 실시 등에 합의했다. 11월 29일에 신민당 소속 국회의원들은 국회에 출석했다.
여성 당선자는 3명(지역구 1명/전국구 2명)이었다.[6]
정당 | 합계 | 지역구 | 전국구 |
---|---|---|---|
민주공화당 | 1 | 0 | 1 |
신민당 | 2 | 1 | 1 |
합계 | 3 | 1 | 2 |
: 여성 의원 비율은 1.7%였다.
참조
[1]
서적
Elections in Asia: A data handbook, Volume II
[2]
문서
당시의 대한국민헌법
[3]
뉴스
史上最悪の不正選挙 野党6・8総選を糾弾
http://gonews.kinds.[...]
東亜日報
1967-06-09
[4]
서적
조선한국근현대사
일본평론사
[5]
뉴스
朴大統領の六・八総選挙不正に関する発言
1967-08-01
[6]
서적
現代韓国と女性
新幹社
[7]
문서
민정당, 민주당, 자유민주당, 국민의당
[8]
웹사이트
중앙선관위 역대선거정보시스템
http://www.nec.go.kr[...]
2012-09-03
[9]
문서
김재화 등록무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